초시생을 위한 공시 스타터 키트

​오늘은 초시생분들을 위한 공시 스타터 키트 같은 콘텐츠를 준비해보았어요!
공무원 시험의 A to Z, 빠르게 살펴볼까요?


1. 용어 해설 zip.

- 국가직, 지방직

지방직과 국가직의 가장 큰 차이는 근무처예요. 특히 국가직은 맞춤형 부서배치 제도를 통해 전국 발령 순환 근무를 해요.

- 직렬과 직류

• 직렬: 직무의 종류와 성격이 비슷하지만 책임과 곤란성의 정도가 다른 직업의 군, 즉 업무가 유사한 직류를 모아둔 것

• 직류: 같은 직렬 내에서 담당 분야가 같은 직무의 군, 즉 세부적인 모집 단위

- 그밖의 시험용어들

• 공채: '공개경쟁채용'의 줄임말 (7급과 9급의 공채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교정・보호직의 경우에는 만20세 이상 지원 가능)

• 경채: '경력경쟁채용'의 줄임말 (경력직이나 자격증이나 학위 등 조건을 갖춘 사람에 한해 선발하는 전형으로, 주로 전문・특수분야 등 공채로 충원하기 어려운 경우에 진행)

• 응시인원: 시험에 응시한 인원의 수

• 선발인원: 채용하는 인원의 수

• 출원인원: 원서접수를 한 인원의 수

• 합격선: 합격 최소 점수

• 과락: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일 경우 불합격이 되는 것

2. 공무원이 되기까지의 절차

공무원이 되기까지의 절차를 크게 3단계로 나누어서 살펴볼게요. 특히 관심이 많을 필기시험에 관해서는 더 꼼꼼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3. 시험과목 살펴보기

- 9급

- 7급

- PSAT이란?

4. 직류 선택하기

직류는 크게 선발인원, 경쟁률, 응시기회 등을 살펴서 합격 가능성이 가장 큰 직류에 지원하는 방법과 본인의 전공, 자격증 혹은 적성 등을 살펴본 뒤에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직류에 지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
- 합격 가능성 살펴보기

- 직류별 특징 살펴보기


여기까지 초시생 분들을 위한 스타터 키트 콘텐츠였습니다!
다음번에도 더 알차고 도움되는 콘텐츠로 찾아올게요. 감사합니다!